비엥나의 블로그

동농 김가진!! 독립문 현판 서체 주인은? 본문

좋은정보와 글

동농 김가진!! 독립문 현판 서체 주인은?

홍부반장 2017. 3. 25. 15:26

이완용은 매국노 입니다. 나라를 팔아먹은 을사오적 중 한명 입니다. 하지만 당시 그는 '정동파'의 핵심멤버로 독립협회 창설과 독립협회 운영비 전체 모금액 510원 가운데 100원을 그가 내는 등 협회의 재정에도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독립문을 건립하기 위해 만들어진 구성된 단체였던만큼 이완용은 독립문 건립의 최대 공로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독립문의 현판 글씨 또한 그가 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독립문 현판을 이완용이 썼다는 ‘유일한’ 역사적 기록은 일제 당시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동아일보> 1924년 7월 15일자에는 '내동리 명물(名物)'이라는 고정연재물이 실려 있는데, 독립문을 다룬 이날짜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교북동 큰길가에 독립문이 있습니다. 모양으로만 보면 불란서 파리에 있는 개선문과 비슷합니다. 이 문은 독립협회가 일어났을 때 서재필이란 이가 주창하여 세우게 된 것이랍니다. 그 위에 새겨있는 '독립문'이란 세 글자는 이완용이가 쓴 것이랍니다. 이완용이는 다른 이완용이가 아니라 조선귀족 영수 후작 각하올시다." 

이완용이 독립문 현판을 썼다고 기록한 <동아일보> 기사(1924. 7. 15) 독립문 현판 글씨를 쓴 사람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기록은 현재까지는 이 기사가 유일합니다. 

이완용이 아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이완용의 자서전 "일당기사"에는 그가 66세 되던 해인 1923년 1월 11일, 직지사에 2개의 편액(대웅전, 천왕문)을 써서 내려 보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가 독립문 현판 글씨를 썼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시골의 일개 사찰에 써준 현판도 기록해놓고 있으면서 정치적으로 의미가 큰 독립문 현판을 썼다면 이 역시 기록해두었을 것인데..

명필 김가진

 

김자동은 동아일보 기사를 반박했습니다. 그는 구한말 대신을 지낸 동농 김가진의 손자로 김가진은 1896년 7월 2일 독립협회가 창설 때 이상재 등과 함께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독립문 건립에도 기여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당대의 명필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불렸던 사람입니다. 

김가진의 손자 김자동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독립협회 결성의 주역 중 한 사람이던 할아버지는 당대 명필로도 꼽혀 서대문 밖에 세운 ‘독립문’의 한자·한글 제자 모두 쓰셨다. 비원에 있는 현판도 대부분 할아버지 글씨다. 독립문의 제자가 ‘역적’ 이완용의 글씨로 일부 잘못 알려져 있는데, 육안으로 서체만 비교해도 틀린 주장임을 알 수 있다.” 

 

“우리 집안에서는 당연히 할아버님 글씨로 알고 있습니다.  어머니(정정화)의 회고록 "장강일기"에도 한문과 한글 현판을 정성 들여 쓰셨다고 나와 있고요. 어머니는 홀로 상하이에 건너가 시아버지를 모셨어요. 할아버님은 1903년 중추원 부의장으로 계셨을 때, 비원 감독직을 맡아 창덕궁 모든 현판 글씨들도 쓰셨습니다.

감정결과

서예 전문가나 감정가는 독립문 현팔의 서체가 52세의 농익은 동농(김가진) 글씨가 분명하다 합니다. 동농 선생은 송나라 때 명필 미불의 글씨를 즐겨 썼는데. 이는 세로보다 가로가 더 길게 보여서 중후하고 넉넉하고 이완용은 당나라 안진경체를 즐겨 썼는데, 이는 세로로 길고 옹색한 맛이 있습니다. 

봉정사 현판과 비교

감정 권위자인 서예가 김선원(66)씨는 김가진이 썼다고 알려진 안동 천등산 봉정사 현판과 비교해 보았는데요. 그는‘문 문(門)자’와 ‘설 립(立)자’의 체형을 조목조목 짚어가며 독립문 현판은 김가진의 서체라고 단언했습니다.  

 

  독립문(서울 獨立門)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1896년 11월에 준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다.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한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으로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서재필의 원작을 배경으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시공했고, 그 현판은 김가진의 작품이다.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