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조선왕의 묘호, '종(宗)'과 '조(祖)' 그리고 '군(君)'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은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나라로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긴 1910년까지 519년 동안 27명의 임금이 다스렸던 나라 입니다.
아마 학교 역사 시간에 한번씩은 외웠을 듯한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근데 '태종', '세종' 처럼 '종(宗)'이 붙는 왕이 있는가 하면 '정조', '인조' 처럼 '조(祖)'가 붙는 왕도 있습니다. 과연 그 차이는?
'종'과 '조'를 결정하는 것은 임금이 죽고 종묘에 들어갈 때 그 공적을 기리며 이름을 짓는것으로 '묘호'라고 합니다.
묘효는 임금이 죽고 3년상이 끝나게 되면 새로 등극한 임금과 2품이상 대신들이 모여서 왕의 묘호를 의논해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묘호를 '조(祖) '를 쓸지 '종(宗)'을 쓸지 결정하는 기준은 왕의 생전 업적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조(祖)'는 개국을 한 왕이나 반정이나 국난 극복을 통하여 나라의 정통을 다시 세운 왕, 즉 국가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업적을 세운 왕에게 '조(祖)'의 묘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종(宗)'는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으로 선왕의 뜻을 잘 계승하여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며 종묘사직을 지킨 왕의 경우 '종(宗)'의 묘호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군(君)'은 폐위가 되어 종묘에 들어가지 못한 왕으로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조선의 10대왕이었던 '연산군' 입니다.
참고로 세조에게 왕위를 찬탈당한 단종은 무능한 왕으로 평가되어 "노산군" 이라고 불리다가, 숙종 때에 와서야 "단종" 이라는 묘호를 받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참고할 사항은 모두 당대의 업적과 당쟁에 따라 '묘효'를 결정한 것으로 영조, 정조도 원래는 종이란 시호를 받을뻔 했으나 당쟁의 흐름 때문에 조의 시호를 받기도 했습니다.